반응형

안녕하세요. 수능 한국사 해설, 사해입니다.

문제를 파악하는 '키워드'중심으로 풀어보려 합니다
혼자 공부하면서 풀이하다보니 오류가 있을 수 있어요!

최대한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풀어 해설할테니,
혹시 잘못된 풀이가 있으면 비밀댓글 알려주세요 :)

 

신석기 시대를 묻는 문항

키워드 : 빗살무늬 토기, 농경 시작, 갈판과 갈돌 사진 등

① 간석기를 제작하는 청년
갈판과 갈돌이라는 명칭 자체에서 석기를 간다라는 것을 캐치할 수 있습니다. 간석기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 특징이죠.

② 석굴암을 조성하는 장인
- 통일신라.

③ 덩이쇠로 교역을 하는 상인
- '쇠'라는 것 자체가 철기 시대 등장합니다.

④ 청자 병에 기름을 담는 노인
- 고려시대.

⑤ 측우기로 강우량을 재는 관리
-조선시대 세종시기 장영실의 발명품이죠.

 

백제 한성(위례성)함락 이후를 묻는 문항

키워드 : 개로(왕), 문주(왕), 웅진

① 고구려가 낙랑을 축출하였다.
- 낙랑 축출은 고구려 미천왕 때의 일로 이전입니다.

② 고구려가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다.
- 고국원왕이 백제 근초고왕의 아들 근구수에 의해 피살 당합니다.(근초고왕의 평양성 침략) 고구려는 이후 백제에 대한 복수의 칼을 갈죠. 그리고 이를 위해 장수왕은 남진정책을 추진하고 평양으로 수도를 옮깁니다. 이후에 한성이 함락됩니다.

③ 신라가 한강 하류 지역을 차지하였다.
- 웅진(공주)은 부흥기를 가져오기엔 평지가 협소하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방어에는 유리). 이에 성왕 때 강이 더 넓고 평지인 사비(부여)로 수도를 옮깁니다. 이후 부흥기를 맞이하고, 나제동맹을 맺어 고구려를 협공해 한강지역을 되찾습니다. 그러나 진흥왕의 배신으로 결국 관산성전투에서 죽게됩니다.

④ 고조선에서 위만이 왕위를 차지하였다.
- 삼국시대 이전.

⑤ 백제의 공격으로 고구려 왕이 전사하였다.
- 에 소개된 사건입니다.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고국원왕이 사망한 사건.

 

신라를 묻는 문항

키워드 : 진골, 6두품 등

① 지방에 사립 교육 기관으로 서원이 설립되었다.
- 조선.

② 주자감을 설치하고 당에 유학생을 파견하였다.
- 발해.

③ 국학을 운영하고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였다.
- 통일신라 신문왕 때 국학을 설치하고, 원성왕 때 독서삼품과를 실시합니다.
  독서 삼품과는 과거제의 효시격으로 보기도 하지만, 이는 관리 '선발'보다는 그 관리의 '자격'을 검증하는 용도로 이용되었다고 합니다.

④ 사학 12도가 융성하여 관학이 위축되었다.
- 고려.

⑤ 최고 교육 기관으로 성균관을 두었다.

고려후기 ~ 조선시대 전반.

 

고려 태조(왕건)를 묻는 문항

키워드 : 향리, 개경, 기인제도, 왕씨 성 하사 등

① 친명 배금 정책
- 조선 인조.

② 호족 통합 정책
- 기인제도는 호족 견제, 왕씨 성 하사는 호족 포용책이죠. 

③ 통상 개화 정책

④ 반원 자주 정책
- 고려 공민왕.

⑤ 민족 말살 정책
- 1930년대 일본의 정책(일제강점기)

 

무신정변을 묻는 문항

키워드 : 보현원, 한뢰, 정중부 등

-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을 겪으면서 문벌귀족 시기의 문제가 이미 드러났습니다. 이후 문신들이 무신을 무시하면서 무신정변이 일어났는데요. 이의방-정중부-경대승-이의민 시기를 거치고 최씨정권이 60년간 이어졌습니다. 이 때 몽골이 침략을 하고 최우 때 강화도로 천도를 합니다.

① (가)      ② (나)     (다)      ④ (라)      ⑤ (마)

 

고려시대 상업을 묻는 문항

키워드 : 건원중보, 활구(은병), 상평창 등

① 전환국에서 화폐를 주조하였어요.
- 개화시기.

② 개시와 후시 무역이 이루어졌어요.
- 조선 후기 공무역과 사무역.

③ 신라도를 열어 신라와 교류하였어요.
- 발해.

④ 공인의 일부가 도고로 성장하였어요.
- 조선 후기.

⑤ 경시서가 상업 활동을 감독하였어요.
- 고려, 조선.

 

지역 관련 사건을 묻는 문항

키워드 : 경원, 부산, 울돌목(명량), 의주

ㄱ. (가) - 여진을 몰아내고 개척한 6진 중 한 곳이다. (세종 시기)
ㄴ. (나) -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발해를 세웠다. (동모산, 중국 길림성 위치)
ㄷ. (다) -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이 적군을 크게 무찔렀다. (한산도, 명량, 노량)
ㄹ. (라) - 장보고의 건의로 청해진이 설치되었다. (완도)

① ㄱ, ㄴ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세종대왕을 묻는 문항

키워드 : 전분6등법, 연분9등법, 의정부 서사제

전분 6등법 : 토지(전)의 '비옥도'따라 6 등급을 매겨 세금을 거둠.
연분 9등법 : 해당 년의 '풍흉'따라 9등급을 매겨 세금을 거둠.

의정부서사제 : 의정부(영의정,좌의정,우의정의 부서)에 6조가 보고하고, 의정부 검토 후 왕의 재가를 받아 업무 추진.
 <-> 6조 직계제 : 정승들의 힘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6조가 업무 보고를 왕에게 직접하는 제도. 조선 태종이 정도전을 봐오면서 왕권을 강화하고자 시행. 이후 세조 때도 재시행.

① 금관가야 병합
- 신라 법흥왕.

② 교정도감 설치
- 고려 무신정권기 최충헌.

훈민정음 창제

④ 대전회통 편찬
- 흥선대원군 시기. 조선시대 법전은 경국대전-속대전-대전통편-대전회통 4가지가 대표적입니다. 경국대전 편찬이 오래되고, 임진왜란도 겪으면서 사회가 변화하자 영조가 후속격인 법전 '속대전'을 편찬합니다. 이후 경국대전과 속대전을 서로 적용하면서 혼동이 있게되자 정조 때 두 법전을 통합한 '대전통편'을 편찬합니다. 이후 또 사회 변화에 맞추어 '다시' 새롭게 통합본을 낸 것이 '대전회통'입니다.

⑤ 천리장성 축조
- 고구려, 고려.

 

진주농민봉기, 삼정의 문란을 묻는 문항

키워드 : 진주 민란, 백성 수탈

진주에서 민란이 일어난 원인이 백성'수탈' 때문이라는 내용이 문제에 나와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유추할 수도 있구요. 이미 키워드를 안 다면 세도정권 시기 삼정의 문란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
- 고려 후기 공민왕 때 권세가들의 불법토지 점유를 막기 위해 시행했습니다. 백성 수탈인 측면에서 헷갈릴 수 있지만, 안핵사 '박규수'라는 키워드가 조선시대임을 알려줍니다. 박규수는 박지원의 손자(할아버지가 돌아가신 2년 뒤 태어났다고 하네요.)이며 제너럴셔먼호 사건 때 평양감사로 활동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나중에 개화사상을 오경석 유홍기 등에 영향을 끼치죠.

② 황룡사 9층 목탑을 세웠다.
- 신라.

③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는 기관이죠.

④ 수원 화성을 건설하였다.
- 조선 정조.

⑤ 정동행성을 폐지하였다.
- 공민왕.

 

실학자 '박제가'를 묻는 문항

키워드 : 재물은 우물과 같다. 수레 이용, 북학의 등

①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 고려 후기 일연.

② 대동여지도를 제작하였다.
- 조선 후기 김정호.

③ 일본군의 침입에 맞서 의병을 일으켰다.
- 최익현, 이인영, 유인석 등

④ 청의 발달된 기술을 수용하자고 주장하였다.
- 소위 중상주의 실학자들의 공통된 주장 중 하나죠. 박지원과 박제가 모두 청의 발달된 기술을 수용하자고 주장합니다.

⑤ 정혜쌍수를 제창하고 결사 운동을 주도하였다.
- 고려 지눌.

반응형
1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