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수능 한국사 해설, 사해입니다.

문제를 파악하는 '키워드'중심으로 풀어보려 합니다
혼자 공부하면서 풀이하다보니 오류가 있을 수 있어요!

최대한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풀어 해설할테니,
혹시 잘못된 풀이가 있으면 비밀댓글 알려주세요 :)

 

흥선대원군 시기 서구 열강의 침략을 묻는 문항

키워드 : 병인박해, 프랑스-강화도 침략, 척화비 등

① 신미양요가 발생하다.
- 병인양요, 제너럴셔먼호사건, 오테르트 도굴 사건 이후 신미양요가 일어납니다. 평양에서 일어난 제너럴셔먼호사건을 구실로 미국이 강화도로 쳐들어옵니다. 이러한 사건들을 계기로 흥선대원군은 통상수교거부정책을 실시합니다.

② 을미의병이 일어나다.
- 을미사변, 을미개혁(단발령)을 원인으로 을미의병 발생합니다.

③ 홍범 14조가 반포되다.
- 2차 갑오개혁 시기 고종이 개혁방향을 발표합니다.

④ 거문도 사건이 발발하다.
- 갑신정변 이후 일어난 사건으로,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견제하고자 조선의 거문도를 불법점령합니다. 당시 정부는 영국이 점령했다는 사실도 몰랐다가 중국이 일러주어 확인하게 됩니다.

⑤ 동학 농민군이 봉기하다.
-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를 필두로 고부농민봉기가 일어납니다. 이거이 점차 확대되어 동학 농민 운동으로 커집니다.

 

여성운동, 근우회에 대해 묻는 문항

키워드 : 조선 여성 운동, 근우

① 금난전권의 폐지 목적을 알아본다.
- 조선 정조 때 금난전권을 폐지합니다. 조선은 시전상인이 세금을 내는 댓가로 그들만 상업에 종사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일반 서민 중에 먹고 살기 어려워 허가받지 않고 상업에 종사하는 자들이 있었는데요. 이들을 시장을 '혼란'스럽게 한다하여 난전이라고 했습니다. 조선에서는 이 난전을 금지하고 있었고, 시전상인이 난전의 물건을 압수하거나 난전에 폭력을 가할 수 있는 권리가 있었습니다. 이것이 금난전권인데요. 정조가 이를 폐지합니다. 다만, 육의전(조선 시대에 나라에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던 여섯 종류의 큰 상점, 비단·면포·종이 등)은 금난전권 폐지에서 제외였습니다.

② 삼정이정청의 설치 배경을 살펴본다.
- 조선 후기. 삼정은 전정, 군정, 환곡(환정)으로 이 중 전정과 군정은 세금제도였습니다. 환곡은 세금이 아니라 돈이 없는 사람에게 정부가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제도였는데요. 이자에 눈이 먼 관리들이 강제로 빌려주면서 세금처럼 매번 거두게 되었습니다. 삼정이 이런 비리 속에 쌓여 백성들이 살기 어려워지자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등이 발생하는데요. 이에 조선 정부는 삼정을 바로 잡는 관청 '삼정이정청'을 설치합니다. 하지만 실효는 미미했습니다.

③ 조사 시찰단의 활동 내용을 분석한다.
- 조선 개화기. 강화도 조약 이후 다른 나라에 사절단을 보내 개화정책을 배우는데요. 일본에도 사절단을 보내려 합니다. 하지만 개화정책을 반대하는 세력 '위정척사'에 부딪혀 공식적으로 사절단을 보내지 못하고 단순 시찰의 명목으로 조사 시찰단(신사 유람단)을 보냅니다.

④ 새마을 운동의 전개 과정을 정리한다.
- 1970년대. 박정희 정부 때 시골의 환경을 변화시키고자 전개한 운동입니다.

⑤ 여성계의 민족 유일당 운동을 조사한다.
- 민족 유일당 단체인 신간회의 자매단체인 근우회는 여성 권리 신장, 계몽 운동, 독립 운동 등에 앞장섰습니다.

 

국채보상운동을 묻는 문항

키워드 : 금주, 금연, 일본에 진 나라빚을 갚으려고... 등

① 치안 유지법에 의해 탄압받았다.
- 1925년. 러시아혁명 이후 사회주의가 각 국에 퍼집니다. 이에 일본은 사회주의자들을 저지하고 치안을 유지한다는 명목으로 이 법을 만듭니다. 그러나 이 법은 사회주의자가 아닌 독립운동가들에게도 적용이 되고 우리 독립 운동 탄압에 영향을 끼칩니다. 해방 이후에는 반공을 강조하는 국가보안법에 영향을 끼칩니다.

② 조선 형평사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사라졌지만 여전히 백정에 대한 차별이 있었습니다. 이에 백정들이 1926년 조선형평사를 진주에서 설립하고 형평운동을 전개합니다. 형평운동은 일본의 수평운동 영향을 받았습니다. 

③ 대한매일신보 등 언론의 지원을 받았다.
- 신민회의 회장인 양기탁과, 영국인 베델이 사장으로 있던 언론사입니다. 국채보상운동을 신문에 실어 전국에 홍보합니다.

④ 평양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1920년대 물산장려운동에 대한 설명입니다.

⑤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리는 계기가 되었다.
1880년대 위정척사 세력 중 하나입니다. 2차 수신사 김홍집이 일본에서 '조선책략'이라는 중국인이 쓴 책을 가져옵니다. 이 책에서는 조선이 러시아를 막는 책략이 담겨 있는데요. 그 방법은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입니다. 이 책의 영향으로 조선 정부는 미국과 조약을 맺고 수교하게 됩니다. 여기에 이만손 등은 반대를 하는데요. 러시아를 막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연고없는 미국을 오히려 끌어들이는데에 반대했습니다.

 

독립협회를 묻는 문항

키워드 : 독립문, 독립관, 토론회 등

① 어린이날을 제정하였다.
- 방정환의 주장으로 천도교 소년회에서 주도.

② 원산 학사를설립하였다.
- 강화도조약으로 개항했던 항구 중 하나인 원산에 외국인이 많이 오자 원산 지역 주민들이 학교를 세우게 됩니다. 

③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였다.
- 독립협회가 개최한 토론회입니다. 

④ 브나로드 운동을 전개하였다.
- 1926년 동아일보가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전개한 운동입니다. 브나로드는 '민중 속으로'라는 의미인데요. 민중의 계몽을 위한 교육운동을 전개했습니다.

⑤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만들었다.
조선어 협회에 대한 설명으로 큰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만들었습니다.

 

3·1운동을 묻는 문항

키워드 : 기미년 3월, 조선 민족 대표 33인 등

① 좌우 합작 위원회가 주도하였다.
- 해방 이후 한국에 세울 정부를 두고 국제사회가 회의를 합니다. 참 아쉬운 부분이죠. 우리나라 정부를 수립하는데 우리의 의견보다 중국, 미국, 소련, 영국의 입김이 더 쎘습니다. 그러나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이견이 강해 정부 수립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에 이승만이 '남한만이라도'정부를 수립하자며 정읍발언을 합니다.
 좌익과 우익의 이념차이는 있었지만 분단을 생각해 본 적은 없었기에 정읍발언에 다들 깜짝 놀랍니다. 미군정도 지지하지 않죠. 이후 중도좌익 여운형과 중도우익 김규식이 좌우 합작 위원회를 추진합니다. 그러나 냉전이 시작되면서 미국과 소련의 관계가 극히 나빠지고 이 영향으로 좌우합작운동도 무산됩니다. 거기다 여운형 암살, 김구·이승만·박헌영 등 네임드 정치인이 참여하지 않으면서 운동은 힘을 잃게 됩니다.

② 수신사를 파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 강화도 조약 이후.

③ 집강소를 통해 폐정 개혁을 추진하였다.
- 동학농민운동 이후.

④ 3·15 부정 선거에 항의하여 발생하였다.
- 4·19혁명.

⑤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영향을 끼쳤다.
- 3·1 운동.

 

의열단을 묻는 문항

키워드 : 김익상, 김상옥 등

① 임오군란에 가담하였다.
- 구식 군인.

② 교조 신원 운동을 전개하였다.
- 동학.

③ 김원봉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④ 오산 학교와 대성 학교를 설립하였다.
- 신민회.

⑤ 고종 강제 퇴위 반대 운동을 주도하였다.
- 대한 자강회.

 

대한민국정부 수립 과정을 묻는 문항

키워드 : 5·10 총선거, 민주 국가를 세우자.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신군부 등장 관련된 내용을 묻는 문항

키워드 : 전두환, 신군부, 12·12 사태

① 한·일 의정서의 내용을 분석한다.
- 러일전쟁 중.

② 제주 4·3 사건의 원인을 살펴본다.
- 5·10 총선거.

③ 인천 상륙 작전의 전개 과정을 조사한다.
- 독립협회가 개최한 토론회입니다. 

④ 5·18 민주화 운동의 발생 배경을 파악한다.
- 1926년 동아일보가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전개한 운동입니다. 브나로드는 '민중 속으로'라는 의미인데요. 민중의 계몽을 위한 교육운동을 전개했습니다.

⑤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의 활동을 알아본다.
조선어 협회에 대한 설명으로 큰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만들었습니다.

 

1910년대 회사령과 관련된 내용을 묻는 문항

키워드 : 회사의 설립은 조선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① 군사 훈련을 받는 별기군
- 별기군은 조선 말기 신식군대 명칭입니다.

제복을 입고 칼을 찬 교원
- 1910년대 헌병통치 시기 대표적인 모습이죠.

③ 군국기무처에서 일하는 관리
- 1차 갑오개혁 추진 기구입니다.

④ 홍경래의 난에 가담한 광산 노동자
- 세도정권 시기 평안도에서 일어난 반란입니다.

⑤ 신탁 통치 반대 시위에 참가한 시민
- 광복 후 중,소,영,미의 신탁통치 결정에 반대하게 됩니다.

 

노태우 정부 시기를 묻는 문항

키워드 : 공산권 국가와 수교,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한반도 비행화 선언 등

① 정전 협정 조인
- 1953년 7월 한국전쟁 직후 체결합니다. (이승만 정부)

 베트남 전쟁 파병
- 1964~1973. 박정희 정부 시기.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 노태우 정부.

④ 제1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
- 김대중 정부 시기.

⑤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 파견
- 일제강점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