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능 한국사 해설, 사해입니다.
문제를 파악하는 '키워드'중심으로 풀어보려 합니다
혼자 공부하면서 풀이하다보니 오류가 있을 수 있어요!
최대한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풀어 해설할테니,
혹시 잘못된 풀이가 있으면 비밀댓글 알려주세요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을 묻는 문항
키워드 : 청 상인의 한성과 양화진에 영업소 개설, 내륙활동 가능
① 광무개혁이 추진되었다.
- 대한제국의 개혁.
② 국채 보상 운동이 전개되었다.
- 메가타가 화폐정리사업을 실시하고 제일은행권을 발행하면서 일본의 차관을 1300만원 빌려옵니다. 이를 갚고자 대구에서 국채 보상 운동이 먼저 실시됩니다.
③ 러시아가 절영도 조차를 시도하였다.
-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의 입김이 세지고, 러시아는 부동항을 얻기 위해 대한제국의 절영도 조차를 요구합니다. 여기에 독립협회는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여 반발하고, 결국 러시아가 물러섭니다.
④ 일본이 황무지 개간권을 요구하였다.
- 러일전쟁 시기 일본이 대한제국의 토지를 이용하고자 한일의정서를 체결하거나 황무지 개간권 등을 요구하였습니다.
⑤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이 체결되었다.
- 조선의 개화정책에 반발하여 임오군란이 일어납니다. 왕과 왕비가 도망가면서 청에 도움을 요청하였고, 이를 진압해 줍니다. 이후 청나라는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을 심화하고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하여 청 상인의 내륙무역을 허용시킵니다. 이것이 더욱 문제된 점은 최혜국대우 때문에 다른 국가들도 조선의 내륙무역이 가능해졌다는 점입니다.
러일전쟁(1904)과 정미의병(1907) 사이를 묻는 문항
키워드 : (가) 러일 전쟁, 한일의정서 (나) 고종 강제 퇴위, 군대 해산, 13도 창의군, 서울 진공 작전
① 동학 농민군이 전주성을 점령하였다.
- 갑신정변(1884)과 갑오개혁(1894) 사이. 동학농민운동은 (1894).
② 대한 제국이 외교권을 빼앗겼다.
- 을사조약의 내용(1905).
③ 홍경래의 난이 반발하였다.
- 19세기 초 세도정권 시기.
④ 노비안검법이 시행되었다.
- 고려.
⑤ 훈련도감이 설치되었다.
- 조선후기.
아관파천의 배경을 묻는 문항
키워드 : 조선 왕이 ~ 러시아 공사관에 머무르고 있다.
① 을미사변이 발생하였다.
- 일본의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이후에 아관파천 단행.
② 자유시 참변이 일어났다.
- 1920년대 자유시 이동 후 러시아의 적군이 무장해제 후 편입을 요청하자, 우리나라 독립군은 이를 반대하고 결국 무장해제된 채 참변을 당합니다.
③ 대한국 국제가 반포되었다.
- 대한제국의 일종의 헌법.
④ 만민 공동회가 개최되었다.
- 독립협회의 집회.
⑤ 헤이그특사가 파견되었다.
- 을사늑약에 대한 반대.
한국전쟁(6·25전쟁)을 묻는 문항
키워드 : 6·25전쟁(1950~1953)
① 신미양요와 어재연의 항전
- 조선 후기.
② 인천 상륙 작전과 서울 수복
③ 5·10 총선거와 제헌 국회 구성
-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을 위한 작업.
④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 조약 체결
- 1875년, 1876년.
⑤ 한인 애국단 결성과 윤봉길 의거
- 193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묻는 문항
키워드 : 상하이,독립신문,연통제와 교통국
① 장용영을 창설하였다.
- 조선 정조의 친위부대.
② 원산 학사를 설립하였다.
- 1883년 민간이 세운 한국 최초의 근대적 교육기관. 강화도 조약으로 개항한 장소가 부산, 원산, 인천입니다. 원산 지역에 외국인이 유입되고 근대화 바람이 불다보니 최초로 근대 교육기관이 등장하게 됩니다.
③ 홍범 14조를 반포하였다.
- 2차 갑오개혁 때 고종이 발표.(1894)
④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 활동입니다.
⑤ 정우회 선언을 발표하였다.
- 비타협적 민족주의와 제휴하기 위해 사회주의 세력이 발표한 선언입니다.
광주학생항일운동을 묻는 문항
키워드 : 1929년 나주역, 3·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항일 운동 등
①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 위정척사 운동.
②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좌절되었다.
- 통감부는 일제강점기 이전의 기구입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총독부로 바뀌게 됩니다.
③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계기로 일어났다.
- 신미양요.
④ 헌병 경찰제가 시행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3·1운동.
⑤ 신간회가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여 지원하였다.
- 학생들의 운동을 지원해 주기 위해 신간회가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고, 이를 더욱 키워 민중 대회로 계획합니다. 하지만 일본이 오히려 이를 구실로 신간회 간부를 잡아 들이고, 신간회는 후에 우경화되며 타협적으로 변합니다. 이에 결국 해소하게 됩니다.(1931년)
민족말살통치를 묻는 문항
키워드 : 일본군 '위안부', 일제가 국가 총동원법을 시행 등
① 별기군을 창설하였다.
- 조선의 개화정책으로 만들어진 신식군대.
② 전시과를 실시하였다.
- 고려의 토지제도.
③ 군국기무처를 설치하였다.
- 조선의 1차갑오개혁 추진기구.
④ 미곡 공출제를 시행하였다.
- 국가총동원법은 인적, 물적 자원을 총동원하는 법령으로 쌀, 놋그릇, 숟가락 할 것 없이 모두 빼앗아갔습니다. 쌀은 공출되었고, 이후 배급을 통해 얻어먹게 되지만 그 양은 턱없이 부족했겠죠. 참고로 미곡 공출제는 미군정 시기에도 시행이 됩니다.
⑤ 교육입국 조서를 반포하였다.
- 2차 갑오개혁 시기.
1920년대 국외 무장 투쟁을 묻는 문항
키워드 : 봉오동, 홍범도 등
① 국외 무장 독립군의 활동
-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가 대표적입니다.
② 병자호란과 북벌론의 대두
- 조선시대.
③ 몽골의 침략과 삼별초의 항쟁
- 고려시대.
④ 거란의 침입과 강동 6주의 획득
- 고려시대.
⑤ 나당 전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 삼국시대.
4·19 혁명을 묻는 문항
키워드 :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 요구 등
① 급진 개화파가 일으켰다.
- 갑신정변.
② 조선 형평사가 주도하였다.
- 일제강점기 형평운동.(1920년대).
③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 냈다.
- 1987년 6월 민주 항쟁.
④ 신군부 세력의 권력 장악에 반대하였다.
- 1980년 서울의 봄 or 5·18 민주화 운동.
⑤ 3·15 부정 선거에 항의하여 발생하였다.
- 4·19혁명의 배경입니다.
남북통일 방안을 묻는 문항
키워드 : 평화 통일을 위한 남북 간의 노력.
① 경국대전 반포
- 조선시대 법전.
② 카이로 회담 개최
- 2차 세계 대전 당시 한국의 독립을 보장해 준 회담.
③ 미소 공동 위원회 개최
- 한국의 민주주의 정부 수립을 위한 회의.
④ 6·15 남북 공동 선언 발표
- 김대중 정부의 업적. 이 문제는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남북'이 함께 했다는 키워드를 찾으면 금세 풀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⑤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결성
- 광복 이후 새로운 국가 수립을 위한 여운형의 노력.
'역사 > 수능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01~05) (0) | 2022.01.28 |
---|---|
2020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01~10) (0) | 2022.01.26 |
2019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11~20) (0) | 2022.01.25 |
2019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1~10) (0) | 2022.01.24 |
2018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11~20)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