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능 한국사 해설, 사해입니다.
문제를 파악하는 '키워드'중심으로 풀어보려 합니다
혼자 공부하면서 풀이하다보니 오류가 있을 수 있어요!
최대한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풀어 해설할테니,
혹시 잘못된 풀이가 있으면 비밀댓글 알려주세요 :)

구석기 시대를 묻는 문항
키워드 : 연천 전곡리, 뗀석기, 주먹도끼 등
①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 청동기.
② 민무늬 토기를 사용하였다.
- 청동기.
③ 비파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 청동기.
④ 철제 농기구로 농사를 지었다.
- 철기.
⑤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 구석기. 이동생활을 해야했기 때문에 동굴이나 막지은 집에서 살았습니다.

나당전쟁을 묻는 문항
키워드 : 매소성, 기벌포 등
① 나당 전쟁의 전개.
- 당나라는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 시킨 뒤 한반도 지배 야욕을 드러냅니다. 이에 나당전쟁이 일어나고, 신라가 매소성 전투와 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며 당을 몰아냅니다.
② 삼별초의 대몽 항쟁
- 고려.
③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 고려 말기.
④ 임진왜란과 의병의 활약
- 조선.
⑤ 여진 정벌과 동북 9성 축조
- 고려.

발해를 묻는 문항
키워드 : 해동성국, 고구려 계승 의식, 이불 병좌상 등
① 대조영에 의해 건국되었다.
-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조영과 그 유민들이 건국하였습니다. 고구려 유이민과 말갈족으로 구성된 나라였습니다.
② 신분 제도로 골품제가 있었다.
- 신라.
③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 동예.
④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연맹을 이루었다.
- 가야(전기).
⑤ 지방 행정 조직으로 5도 양계를 두었다.
- 고려.

고려를 묻는 문항
키워드 : 수도인 개경, 팔관회 등
① 낙랑과 왜 등에 철이 수출되었다.
- 가야.
② 토지 제도로 전시과가 운영되었다.
- 고려.
③ 담배를 비롯한 상품 작물이 재배되었다.
- 조선 후기.
④ 상평통보가 발행되어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 조선 후기.
⑤ 황국 중앙 총상회가 상권 수호 운동을 전개하였다.
- 개화기.

의천을 묻는 문항
키워드 : 교관겸수, 신편제종교장총록 등
① 세속 5계를 지었다.
- 원광(신라).
② 불국사를 창건하였다.
- 김대성(신라 경덕왕대 인물).
③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 김부식(고려).
④ 해동 천태종을 개창하였다.
- 의천. 고려 문종의 아들로 출가하여 교종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하려한 인물입니다.
⑤ 서경 천도 운동을 주도하였다.
- 묘청(고려).

공민왕을 묻는 문항
키워드 : 반원 자주 정책, 몽골풍 금지, 신돈 등용, 전민변정도감 등
①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다.
- 통일신라 신문왕.
② 경복궁 중건을 위해 당백전을 발행하다.
-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
③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영토를 수복하다.
- 고려 공민왕.
④ 대동법을 시행하여 공납의 폐단을 줄이다.
- 조선 광해군.
⑤ 장보고의 건의를 받아들여 청해진을 설치하다.
- 통일신라 흥덕왕.

세종을 묻는 문항
키워드 : 토지를 비옥한 정도에 따라 6등급(전분 6등급), 풍흉의 정도를 9등급(연분 9등급)
① 화랑도를 정비하였다.
- 신라 진흥왕.
②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 신라 문무왕.
③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 조선 세종.
④ 사비 천도를 단행하였다.
- 백제 무령왕.
⑤ 수원 화성을 건설하였다.
- 조선 정조.

조광조를 묻는 문항
키워드 : 향약, 현량과 실시, 공훈 삭제, 기묘사화 등
① 정도전, 새 왕조를 설계하다.
② 김옥균, 근대 사회를 꿈꾸다.
③ 최치원, 혼란한 정치를 비판하다.
④ 최승로, 통치 체제의 정비를 추구하다.
⑤ 조광조, 사림 주도의 개혁을 시도하다.

영조를 묻는 문항
키워드 : 탕평비, 탕평책, 속대전 등
① 균역법을 실시하였다.
- 조선 영조.
② 정동행성을 폐지하였다.
- 고려 공민왕.
③ 사심관 제도를 시행하였다.
- 고려 태조.
④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였다.
- 조선 개화기
⑤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 백제 무령왕.

조선 후기 문화를 묻는 문항
키워드 : 김홍도, 신윤복 등
① 황룡사 9층 목탑이 건립되었어요.
- 신라.
② 한글 소설과 사설시조가 유행하였어요.
- 조선 후기.
③ 독창적인 기법의 상감 청자가 등장하였어요.
- 고려.
④ 금속 활자로 인쇄된 직지심체요절이 간행되었어요.
- 고려.
⑤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이 축조되었어요.
- 백제 무령왕.
'역사 > 수능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01~10) (0) | 2022.01.26 |
---|---|
2019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11~20) (0) | 2022.01.25 |
2018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11~20) (0) | 2021.11.01 |
2018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1~10) (0) | 2021.10.25 |
2017학년도 수능 한국사 해설 (11~20) (0) | 2021.10.24 |